[기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00년 (배용진 전 가톨릭농민회 안동교구 회장)
상태바
[기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00년 (배용진 전 가톨릭농민회 안동교구 회장)
  • 청송군민신문
  • 승인 2020.11.07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용진 전 가톨릭농민회 안동교구 회장 (86세)
배용진 전 가톨릭농민회 안동교구 회장 (86세)

 

21세기의 당면한 위기가 기후와 바이러스라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고 본다.

최근 지상에서 21세기 대처에 대한 사상적 정리가 철학자로부터 논조가 있는 것을 보면 분명 인류의 생존을 위해 20세기를 돌아봐야 할 것 같다.

20세기는 전쟁과 바이러스(스페인 독감)로 인하여 수천만 명의 인류가 희생되고 냉전의 대결은 군비 경쟁으로 치솟기도 했다.

그로 인하여 살상 무기 생산의 과학기술은 원폭이란 정점을 넘어섰다.

과학은 지구를 탈출할 준비를 하는 듯하지만 21세기 지구를 구하는 길이 아닌 것 같다.

질병과 대치한 과학 또한 비약하였다. 그러나 의학이 질병을 앞지르지 못했다.

강대국들이 21세기에는 전쟁 없는 지구촌으로 만들겠다고 만들어진 UN이 냉전을 파산시키고 경제전쟁에 불을 댕겼다.

분단국가는 한국을 제외하고 모두가 제자리로 돌아갔다.

경제성장은 인간의 절제와 검소와는 거리가 멀어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에 의한 폭주, 광란 자본주의라는 쓰레기로 뭇 생명이 공존하지 못하고 함께 질식하고 있다.

탐욕과 쾌락은 극심한 양극화를 양산했고 후진국의 기아와 질병은 인간이 만물의 영장(靈長)이라고 해도 되는지 의문을 갖게 된다.

기후변화 위기도 20세기에서 급속도로 치솟고 모든 생물이 체감하게 되었다.

이토록 공존 공생을 거부한 지난 100년간의 인류의 삶이 21세기에도 코로나가 진정되면 계속될 것이라고 믿는 사람이 있다면 이것은 비극이다.

예수님, 부처님, 공자님이 자연에서 인간이 배워야 할 것은 약육강식, 적자생존이 아니라 조화라고 가르쳤지만 진화하지 못하고 퇴화하고 말았다.

세계대전을 일으킨 나라가 기독교 국가이며 노예를 만들고 매매시장을 만든 것도 기독교 국가이다. 영적 토대의 궤도를 이탈한 것도 20세기였다.

코로나19 시대에 자본주의 문명을 슬기롭게 극복하는 길로 상생과 협동, 절제와 검소를 추구하는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과학과 영혼의 문명 대전환 메시지는 이미 받았다.

핵의 평화적 이용가치 이외 다른 이용가치는 사라졌음을 인류는 알고 있다. 북미회담이 그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

국지적 분쟁이나 국경지대의 우발적 분쟁은 있을지 몰라도 전쟁은 없다. 지난 100년 동안 전 인류가 학습했고 전쟁을 피하고 평화를 추구하는 지도자를 전 인류는 원하기 때문이다.

21세기의 전쟁은 어느 쪽이던 참혹한 결과가 될 것이고 그 후유증이 100년이란 긴 세월 동안 인류에게 고통을 남길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00년 동안 선진국은 후진국을 돕고 나눔의 관계보다 실리추구의 관계를 더 앞세운 관계 발전이었다.

이윤추구의 경영이론보다 공존과 상생의 사상과 철학을 UN 기구를 통하여 선진국부터 솔선수범, 확산시키려는 세계 지도자의 각성이 21세기 대전환의 축이 되어야 한다.

석유시대를 끝내기 위한 과학연구에 투자하여 공상과학 드라마를 현실화해야 한다.

특히 21세기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과학적인 연구로 실질적 효과를 얻어내어 전 인류가 자연의 소중함을 공유하고 의학이 질병을 앞지르는 과제를 달성해야 한다.

지난 100년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경제이론이 남긴 것이 무엇인가?

절제 없이 쾌락을 추구하는 인간을 양산했고 수많은 범죄자를 양산했고 그로 인한 사회적 부담은 날로 증가했다.

자연과의 삶이 멀어지니 농촌은 소멸하고 도시는 과밀과 범죄의 소굴이 되어가지 않았던가?

이 또한 21세기에서 코로나 이후 세계 인류가 함께 풀어야 할 중대 과제이다.

지난 의료인 집단행위에 대한 국민적 비판이 있었지만, 이것이 우리 의료인의 문제만이 아니다. 우리 사회 지도급의 민낯이고 의식 수준이다.

지난 100년은 내가 남보다 앞서 가는 길을 찾는데 광적인 삶이라면 이제 우리는 이웃과 더불어 사는 문화를 어떻게 만들어 나갈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에서는 정책, 사회, 교육제도, 복지 등 모든 시스템의 대전환이 전제되어야 하며 우리는 거기에 맞춰 따르면서 그것이 우리를 행복하게 할 것이라고 믿어야 한다. 이 믿음이 없는 21세기는 불행한 비극이 증폭하는 고통을 인류는 감당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